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부당해고 구제신청에서의 구제이익 법 개정과 판례

by kairos way maker 2024. 12. 10.

부당해고 구제신청에서의 구제이익 법 개정과 판결 의미를 알아볼게요.


목차:
1. 부당해고 구제신청 제도의 배경
2. 과거 대법원의 구제이익 판단 기준  
3. 근로기준법 제30조 제4항의 신설
4. 2022년 대법원 판결의 주요 내용
5. 최근 판결에 대한 평가와 향후 전망


1. 부당해고 구제신청 제도의 배경
사용자가 근로자를 부당하게 해고하면, 근로자는 노동위원회에 구제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이 제도는 1989년에 만들어졌는데, 노동분쟁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해결하고, 근로자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였죠. 

부당해고 구제신청 제도는 근로자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입니다.

일반 법원에 소송을 제기하는 것보다 시간과 비용이 적게 들기 때문에, 근로자들에게 실질적인 구제 기회를 제공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2. 과거 대법원의 구제이익 판단 기준
그런데 과거 대법원은 근로자가 구제신청을 할 때 이미 근로계약이 종료된 경우에는 구제이익이 없다고 보았습니다.

정년이 도래하거나 계약기간이 만료된 근로자는 설령 부당해고를 당했더라도 원직에 복직할 수 없기 때문에, 노동위원회의 구제명령을 받을 필요가 없다는 것이죠.

이러한 대법원의 입장은 부당해고 구제신청 제도의 취지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 것으로 보입니다.

근로계약이 종료된 근로자라도 부당해고로 인한 손해를 배상받을 필요가 있고, 이는 노동위원회를 통해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3. 근로기준법 제30조 제4항의 신설
이에 2021년 5월, 근로기준법 제30조 제4항이 신설되었습니다.

이 조항은 근로계약 기간이 만료되거나 정년이 도래하는 등으로 원직복직이 어려운 경우에도,

노동위원회가 부당해고에 대한 판정을 내리고 금품 지급을 명령할 수 있도록 했죠. 

근로기준법 제30조 제4항의 신설은 과거 대법원 판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입니다.

근로계약이 종료된 근로자의 권리구제 가능성을 열어준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4. 2022년 대법원 판결의 주요 내용 
그러나 2022년 7월, 대법원은 근로자가 구제신청을 할 당시 이미 근로계약이 종료된 경우에는 여전히 구제이익이 없다는 판결을 내렸습니다.

구제명령은 사용자에게 의무를 부과하는 것이므로 엄격하게 해석해야 한다는 이유에서였죠.
이번 대법원 판결은 근로기준법 제30조 제4항의 입법취지에 부합하지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

근로자의 지위를 과도하게 좁게 해석함으로써, 구제제도의 실효성을 떨어뜨릴 우려가 있습니다. 

5. 최근 판결에 대한 평가와 향후 전망
2022년 대법원 판결은 구제신청 시점을 기준으로 근로계약 존속 여부를 판단한다는 점에서 명확한 기준을 제시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근로기준법 제30조 제4항의 취지를 고려할 때, 근로계약이 종료된 근로자라도 구제신청을 허용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부당해고 구제제도의 목적은 근로자의 권익을 두텁게 보호하는 것입니다.

그 취지에 맞게 법령이 개정되어 온 만큼, 구제신청 요건을 지나치게 좁게 해석하기보다는 근로자에게 실질적인 구제 기회를 부여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입니다.

향후 대법원이 입장을 변경할지, 추가적인 법 개정이 이루어질지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회사에서 부당하게 해고를 당한 근로자는, 법원에 가는 대신 노동위원회에 구제신청을 할 수 있어요.

노동위원회는 해고가 부당하다고 판단하면, 회사가 근로자를 다시 직장에 복직시키거나 해고 기간 동안의 임금을 지급하도록 명령을 내려요.

과거에는 근로자가 이미 정년퇴직을 했거나 계약기간이 끝난 경우에는 구제신청을 할 수 없었어요.

그런데 2021년에 법이 바뀌어서, 그런 경우에도 노동위원회가 판정을 내리고 회사가 돈을 지급하도록 할 수 있게 되었어요.

그런데 법원에서는 다시 한 번 근로계약이 끝난 사람은 구제신청을 할 수 없다고 판결을 했어요.

앞으로 이 문제에 대해 법이 더 바뀔 수도 있을 거예요.

반응형